- 3년간 사고건수 5.7배↑...제공데이터 단계적 확대 예정 -

이번 사고통계 공개는 자율주행자동차(이하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확보와 상용화 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를 제고하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자율주행차 제작사가 실사고 기반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학습을 통해 시스템을 점검하여 위험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민·관·산·학·연 각 분야의 자율주행 관련 교통정책·인프라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S는 제작사가 제출하는 자율주행차 교통사고 신고서 기반 사고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도·운행모드·시간대·날씨·주행상태·파손정도별 사고건수 등 10종의 사고통계를 제공한다.
자율주행차 사고는 2022년 7건, 2023년 27건, 2024년 31건, 2025년 47건(9월 기준)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신호체계가 특수한 경우의 미학습으로 인한 추돌사고 등 자율주행모드로 운행 중 사고는 전체 사고의 35% 수준이다.
또한 사고는 주행속도 30km/h 이하의 저속 구간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피해 및 파손 정도는 대체로 경미한 인명 피해 또는 후사경, 범퍼 등 소규모 차량 파손에 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TS 박선영 자동차안전연구원장은 “이번 사고통계 공개를 시작으로 자율주행차 사고통계 공개지표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업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6년 하반기에는 자율주행차사고조사위원회사무국이 수행한 임시운행 자율주행차 사고조사로 확인된 내용을 중심으로, 충돌 이전 차량거동, 사고 충돌부위별 사고건수 등을 추가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며,
이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고 사고조사 결과가 충분히 누적되면, 이를 토대로 심층 통계를 추가로 발표하여 더욱 깊이있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자율주행차 사고정보는 실제 사고 사례를 기반으로 사고 예방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핵심 자료”이며, “앞으로도 사고조사 및 분석 결과 등 관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하여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국민께 투명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하였다.
한편, 자율주행차 사고통계는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조사위원회의 누리집(https://avaib.katri.or.kr)→정보마당→국내사고현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